
최근 엔비디아 주가가 많이 하락했습니다. 중국의 반독점 제소 때문인데요. 엔비디아는 그동안 수많은 악재를 겪어왔지만, 매번 이를 극복하고 더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혹시 기회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특히 연금계좌로 장기투자를 생각한다면, 지금이 좋은 타이밍일 수도 있겠다는 판단입니다.
그래서 연금 포트폴리오로 담기 좋은 엔비디아 ETF를 알아봤습니다.
엔비디아 ETF 투자 전 환율 변동성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최근 외국인들의 한국 증시 매수가 늘어나면서 코스피가 3400선까지 올라갔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인하 이후 달러 약세로 인한 환차익을 노리는 자금이 유입됐을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환헤지가 되는 상품을 선택하는게 더 이득일 수 있습니다. 달러가 약세를 보일 때 환헤지 상품은 환율 변동 리스크를 줄여주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엔비디아 관련 ETF를 환헤지 여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눠서 정리했습니다.
환헤지하는 엔비디아 ETF
① KIWOOM 엔비디아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H) – 최대 25%
키움 엔비디아미국30년국채혼합 ETF가 매력적인 이유는 엔비디아 주식과 미국 30년 국채를 혼합한 구조입니다. IRP 계좌에서 안전자산으로도 인정받기 때문에, 연금계좌에서 운용하기 좋습니다.
엔비디아의 성장성은 누리면서도 국채의 안정성까지 챙길 수 있어서, 보수적인 투자자에게 특히 좋습니다. 최대 25%까지 엔비디아에 투자하니까 적당한 노출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종목코드는 0015E0입니다.
② RISE 미국반도체NYSE(H) – 약 8%
RISE 미국반도체NYSE(H) ETF는 미국 대표 반도체 30개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엔비디아 비중은 약 8%로 위 ETF들보다는 낮지만, 엔비디아 단일 종목 리스크는 줄이면서도 반도체 업종 전체의 성장성은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도체 섹터에 관심은 있지만 엔비디아 집중투자는 부담스러운 분들에게 적합하겠습니다.
종목코드는 469050입니다.
환헤지 없는 엔비디아 ETF
① RISE 엔비디아고정테크100 – 25%
RISE 엔비디아고정테크100은 엔비디아 25%, 나머지 75%는 미국 테크100 지수에 고정 비율로 투자하는 ETF입니다.
엔비디아 비중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어서, 예측 가능한 투자를 원하는 분들에게 좋겠습니다. 테크100 지수도 함께 담고 있어서 기술주 전반의 성장도 함께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종목코드는 0093B0입니다.
②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 – 30%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는 엔비디아 비중이 30%나 되는 혼합형 상품입니다. 앞서 소개한 키움 상품과 비슷하게 IRP 계좌에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게 큰 장점입니다.
키움 상품과 다르게 이 ETF는 국내 국공채에 투자합니다. 종목코드는 448540입니다.
③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 – 20%
ACE 글로벌반도체TOP4는 엔비디아, TSMC, ASML, 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대장주로만 구성된 ETF입니다.
정말 알짜배기 종목만 모아놓은 느낌이라서 관심이 많이 가는 상품입니다. 각 회사가 반도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생각하면,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합니다.
종목코드는 446770입니다.
④ KOSEF 글로벌AI반도체 – 20%
KOSEF 글로벌AI반도체는 AI 반도체에 특화된 ETF로 엔비디아 비중이 20%입니다. 요즘 AI 붐이 계속되고 있으니까 관련 종목들의 성장성을 고려하면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겠습니다.
종목코드는 473490입니다.
⑤ KODEX 미국서학개미 – 18%
KODEX 미국서학개미는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투자하는 미국 주식들로 구성된 재미있는 컨셉의 ETF입니다.
현재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인기 있는 미국주식을 모두 포트폴리오에 담고 싶다면, 이 상품에 투자해보세요.
종목코드는 473460입니다.
⑥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 14%
ACE 미국빅테크TOP7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과 함께 엔비디아도 14% 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만의 리스크를 분산시키면서 미국 기술주 전반의 성장성을 누릴 수 있는 구조라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는 분들에게 좋겠습니다.
종목코드는 465580입니다.
가격 비교
위에서 다룬 ETF의 최근 주가 변동을 비교했습니다. 최근 6개월 가격을 100으로 놓고 이후 변동을 알아봤습니다.
최근 기준 그래프도 참고하세요.

엔비디아 ETF를 선택할 때는 본인의 투자 성향과 환율 전망을 함께 고려해보세요.
특히 연금계좌로 장기투자를 생각한다면, IRP에서 안전자산으로 인정받는 혼합형 상품(KIWOOM 엔비디아미국30년국채혼합액티브(H)나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을 우선 고려해보세요.
물론 투자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니까, 본인의 위험 허용도 범위 내에서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Add your first comment to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