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ISA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사람이 돋보기를 들고 ISA 계좌를 확인한 모습
내 ISA 계좌 확인하는 방법

내 ISA 계좌가 어느 금융사에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과거에 ISA 계좌를 만들었지만, 어디서 개설했는지 헷갈릴 때 계좌통합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내가 개설한 ISA 계좌를 쉽게 찾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SA 계좌 확인이 왜 중요할까

정부가 주주 배당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ISA 계좌(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ISA 계좌는 전 금융권을 통틀어 1인 1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미 개설한 적이 있는데, 새로 만들려고 하면 중복 개설이 불가능하다는 안내를 받게 됩니다. 해지 요청을 하지 않는 한 계좌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어느 금융사에 계좌가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내가 보유한 ISA 계좌 확인 방법

계좌통합관리란?

거래했던 금융사가 하나라면, 해당 고객센터에 물어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여러 금융사를 거래하기 때문에, 일일이 확인하기가 어려운데요. 그럴 때는 ‘계좌통합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계좌통합관리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계좌통합관리는 사이트를 이용해도 되지만, 모바일앱 이용이 편리합니다. 보안프로그램 설치도 없고, 본인인증이 훨씬 간편하기 때문입니다.

앱스토어에서 계좌통합관리 앱을 확인한 화면
계좌통합관리 앱

내 ISA 계좌 확인 방법

앱을 실행한 후에 ‘내 계좌 한눈에’ 메뉴로 들어갑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은행, 제2금융, 증권사 계좌를 모두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습니다. ISA계좌는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어느 금융업종에서 개설했는지 선택합니다. 보통 ‘증권사’에서 많이 개설합니다.

증권사 계좌를 조회한 화면
내 계좌 한눈에 화면

증권사를 선택하면, 해당 증권사에서 개설한 내 계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SA 계좌는 아래와 같이 계좌명에 ISA라고 표시됐습니다.

ISA라고 표시된 계좌를 확인한 모습
내 ISA 계좌 확인

계좌를 찾았다면 다음 단계는

조회해서 계좌를 찾았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활용할 차례입니다. 납입을 재개하거나, 더 좋은 조건의 금융사로 계좌 이전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계좌 이전은 보유 상품을 현금화한 후 이뤄집니다.


계좌 해지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ISA 계좌는 가입 기간이 길수록, 연간 납입한도가 많아집니다. 매년 납입한도가 추가돼, 한 번에 더 많은 금액을 납입할 수 있습니다. 3년 이상 보유한 계좌의 경우 연간 납입한도가 계속 이월되므로, 총 6천만 원까지 한 번에 넣을 수 있습니다.


의무 가입 기간인 3년이 지났다면 해지 후 재가입을 고려해볼만 합니다. 이 경우 비과세 및 분리과세 혜택을 모두 받은 상태로 새로운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만기 후 60일 이내에 연금계좌나 IRP로 자금을 이전하면, 납입액의 10퍼센트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세액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ISA 계좌는 비과세와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강력한 절세 상품입니다. 1인 1계좌 원칙 때문에, 개설한 적이 있다면 기존 보유 계좌를 찾아야 합니다. 오늘 소개한 방법을 활용해 내 계좌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고, 잠들어 있던 계좌가 있다면 다시 활용해보세요.


Recommendation 포스팅


Add your first comment to this post